본문 바로가기

스테이플러의 진화

 

 

“문구류가 발전해온 과정을 추적하면서 그 설명 위에 그것을 쓰는 사람들의 모습을 싣는 것이다. 그것은 곧 발명품과 사용자가 이루는 하나의 거대한 문화다. 의상이나 음식도 그러하겠지만, 문구류도 그냥 하나의 물건에 그치지 않고 삶의 방식을 규정해주며 문화를 파악하고 평가하게 해주는 지표 역할을 한다.”
– <문구의 모험>, ‘옮긴이의 말’ 중에서

 

코너버리의 직각 스테이플러를 들여다보면 단순히 종이를 고정하는 기계로만 여길 수 없다. 디자인과 친환경, 기능까지 세 마리 토끼를 잡은 코너버리의 스테이플러는 상상을 현실로 구현한 신기술의 집약체이자 문구류의 진화다. 직각 스테이플러를 통해 스테이플러는 물론 문구계의 새 지평을 연 코너버리의 김영진 대표를 만났다.

 


 

패키지에 새겨진 코너버리 로고.

 

스테이플러와 스테이플은 늘 손에 닿는 곳에 있지만, 수많은 문구류에서 주인공이기보다 조력자에 가까운 느낌이었어요. 그런데 코너버리가 이들을 주인공으로 만들었네요.

현재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오래된 ‘코너 스티치패키지 박스 측면에 와이어를 이용해 마감하는 방식’ 가공 기술이 있어요. 상자를 제작하는 과정이 자동화된 데다 접착 위주의 상품이 나오면서 기계로 한 방씩 눌러 찍어야 하는 코너 스티치는 대량생산이 쉽지 않아 잘 이용하지 않죠. 그러다 우연히 한 상점에서 코너 스티치가 된 패키지를 발견했어요. 미적으로도 아름답더라고요. 한눈에 반해 우리도 만들어보자고 했죠. 그런데 국내에서 제작할 수 있는 곳을 찾기가 어려웠어요. 차라리 좀 더 쉽게 코너 스티치를 할 수 있는 기계를 우리가 직접 만들어보면 어떨까 싶었죠. 대형 기계는 일상에서 사용하기 어려우니까, 스테이플러처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디형으로 개발해보면 좋겠다고요.

 

예뻐서 시작했다지만, 이렇게까지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했다고요?

저는 시각디자인을 전공했어요. 미적 아름다움만으로도 제작 동기가 되지만, 사업은 달랐어요. 제품화할 타당한 명분을 찾기 위해 질문을 계속 던지며 연구했죠. 우선 이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면 종이에 접착이 필요 없고, 불필요하게 종이를 많이 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어요. 분리수거를 위해 침을 분리해야 하지만, 그 정도 수고는 할 수 있죠. 또 완제품 상태로 박스를 배송하면 1톤 트럭 한 대가 필요하지만, 박스를 전개도 형태로 배송해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는 형식이면 주문 수량 10~20건도 포터 한 대로 가뿐히 운송할 수 있어요. 멀리 보면 탄소 배출에도 도움이 되는 친환경적 제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코너버리의 손길이 묻은 스테이플 패키지 작업들이 탑처럼 쌓여있다.

 

상상하던 것을 구현해내기 위해선 기발한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기술력이 필요하잖아요. 침을 ‘직각’으로 정확하게 찍어내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을 것 같은데, 제작 과정이 궁금하네요.

2019년도부터 이 기술을 개발하는 데 어림잡아 4년 정도 걸렸어요. 기존 스테이플러와는 다른 기술이 필요한 제품이라 대구의 창업 지원 사업을 통해 개발 자금 등을 지원받았어요. 간단히 설명하자면, 일반 스테이플러는 침이 ‘ㄷ’자 형태로 위에서 내려찍으면 밑 받침판에 닿은 심의 양 끝부분이 말려 들어가, 대략 한 80~90도 정도 접히면서 종이를 묶는 거예요. 이 원리를 활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아니었어요. 양쪽 끝뿐 아니라 중간에 코너 부분을 잡아주는 곳에도 각도가 들어가니까, 단순히 찍어 내리는 것만으로는 걸림돌이 많은 구조예요. 여러 시행착오 끝에 기존 스테이플러처럼 똑같이 위에서 내려 찍고, 그런 다음 밑에서 한 번 더 접어 올리는 기능을 추가했죠. 이게 저희 핵심 기술이에요.

 

위아래 양쪽에서 압력을 가하는 형태인데, 그러면 악력에 따라 침이 박히는 깊이가 달라지지 않나요?

맞아요. 아무래도 스테이플러를 바닥에 두고 찍는 게 아니라, 손으로 들고 찍다 보니 침이 박히는 깊이가 일정하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수작업으로도 깊이가 일정하게 찍히도록 스테이플러 아래쪽에 ‘지그jig’를 부착했어요. 지그는 가공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정해주는 보조판이라고 이해하면 돼요. 지그를 달고 깊이를 5~15mm까지 조절할 수 있게 하니 기존 스테이플러처럼 침을 일정한 깊이로 찍는 게 가능해졌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배너 클릭하기▼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