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의 도시
공예를 빚는 도시
공예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속도와 효율을 중시하는 시대, AI를 비롯한 디지털과 가상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손의 흔적을 통해 존재를 증명하는 직접적인 언어가 바로 공예다. 청주는 공예를 품고 빚어 2년마다 꽃으로 피워내고 있다. 그 꽃의 이름은 청주공예비엔날레다.
도시는 이미지로 기억되고 향유된다. 그렇다면 청주는 어떤 이미지일까? 누군가는 사과를 떠올릴 테고, 누군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인 ‘직지(직지심체요절)’를 연상할 수 있다. 그리고 나에게 청주는 ‘공예’로 기억되는 도시다. 처음 청주를 찾은 2015년에도, 마지막으로 청주를 방문한 2023년에도 그 이유는 공예비엔날레였다. 2025년 9월, 청주행이 예정되어 있는 지금도 마찬가지. 역시 청주공예비엔날레가 열리기 때문이다.
1999년 ‘조화의 손’이라는 주제로 첫 걸음을 시작한 뒤 2년마다 열리는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비주류에 가까운 공예 장르를 국제 현대미술의 플랫폼인 비엔날레에 진입하게 한 선구적 시도였다. 과거의 예술로 인식되던 공예를 현대의 미술로 향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디자인·건축 등과 접목해 새롭게 해석하며 공예를 보존의 대상이 아닌 창작의 장르로 빚어왔다. 13번을 거쳐온 비엔날레는 회차마다 다른 주제와 기획 아래 시대의 감각을 반영함으로써 전통공예부터 현대적 오브제,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공예 실험까지 청주를 한국 공예의 심장으로 뛰게 했다. 공예를 향한 다채로운 담론을 담아 고민하고 현대미술의 대화 테이블로 끌어올리는 실험장이기도 한 청주공예비엔날레는 전통과 기술, 산업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역할을 맡아 긴 여정을 이어왔다.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비주류에 가까운 공예 장르를
국제 현대미술의 플랫폼인 비엔날레에 진입하게 한 선구적 시도였다.
청주의 시간과 노동의 흔적이 공예 전시장으로
깊은 의미와 값진 가치만큼 장소도 특별하다. 청주시 내곡동에 위치한 문화제조창을 전시 공간으로 사용하는데, 이곳은 과거 담배를 만들던 연초제조창이다. 해방 직후인 1946년에 설립되어 반세기 넘게 청주의 경제를 이끈 대표적 산업 시설로, 노동자 3000여 명이 연간 100억 개비가 넘는 담배를 생산했다. 2004년까지 운영하다가 공장이 폐쇄되고 도심 한복판에 거대한 유휴 공간으로 방치되던 건물이 새롭게 태어난 것은 2007년. 청주시가 이곳을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재생하는 결정을 내리고, 기존 건물은 뼈대만 유지한 채 내부를 전시장과 창작 공간, 공연장과 상점 등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연초제조창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과 사용하던 생산 도구들을 전시해놓았는데, 독특한 모자를 쓴 수많은 여성 노동자가 작업하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담배를 생산하고 포장하는 일을 맡은 여성 노동자들을 위해 연초제조창에는 탁아소가 별도로 마련되었고, 하루 세 번 아이에게 젖을 먹일 수 있는 시간이 따로 주어졌다는 설명에 마음이 뭉클했다. 근대산업의 유산을 철거하지 않고 기억과 건축의 층위로 보전한 점이 인상 깊었다.
공간 재생 후 ‘옛 청주 연초제조창’으로 불리던 이곳은 문화를 생산하는 제조창이라는 의미로 2019년부터 ‘문화제조창’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청주공예비엔날레의 주 전시장 역할은 2011년부터 맡았다. 5만 ㎡가 넘는 본관동은 대규모 면적과 거친 공장의 흔적이 유려한 공예 작품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독특한 미학을 선보이고 있으며, 남관동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으로 사용 중이다. 2015년 비엔날레의 특별전 예술감독을 맡아 이곳을 방문한 알랭 드 보통은 “거친 공간이었다. 웅장하고 터프한 공간에서 우아하고 세련된 전시를 어떻게 풀어갈 수 있을지 기대가 크다”라고 평가했고, 행복을 주제로 펼친 그의 전시는 큰 주목을 받았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의 습작 - 장우철 작가가 찾은 청주의 분식집 (4) | 2025.07.30 |
---|---|
스쳐 지나가기에는 아까운 도시 - 윤광준 작가가 찾은 청주 (4) | 2025.07.30 |
청주의 조용한 부상 (0) | 2025.07.24 |
순하고 깊다, 청주의 음식 (0) | 2025.07.24 |
내장 굽는 고을 (0)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