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밥상 (4)
탄탄한 사료를 기반으로 한 구성진 음식 이야기로 오랜 시간 독자와 만나온 칼럼니스트 박정배가 대구를 찾았습니다. 치킨과 분식, 붉은 국물과 내장까지 네 편의 연재로 대구 사람들의 밥상을 들여다봅니다. 잠시 숨을 고르세요. 읽는 것만으로도 얼큰하게 취할지 모르니까요.
대구는 내장의 도시다. 육개장, 돼지국밥 같은 국물 요리에서 통닭, 닭똥집에 소 막창, 돼지 막창 구이까지 고기 굽는 냄새가 가득한 도시다. 대구는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경상도 물산의 중심지였다. 서문시장은 조선 시대부터 전국 3대 재래시장으로 꼽혔다. 일제강점기부터 경상도, 전라도를 포함한 3남 지방(충청남북도·전라남북도·경상남북도)의 소를 비롯해 “서울·부산 등 전국 주요 도시는 물론 멀리 서북 황해도·만주 등지에까지 공급하는 집산지로서 성시를 이루었으며 장날이면 하루 거래 두수가 500두를 넘었고, 당시에는 소뿐 아니라 제주도에서 오는 말까지 모두 이곳에서 거래가 이루어졌다”(1969년 11월 8일 자 <매일경제>)고 한다.
대구는 내장의 도시다.
육개장, 돼지국밥 같은 국물 요리에서
통닭, 닭똥집에 소 막창, 돼지 막창 구이까지
고기 굽는 냄새가 가득한 도시다.
가난하고 젊은 노동자를 먹여 살렸던 내장
전쟁 이후 침체기를 맞은 후 1960년대 대구는 또 한번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대구·경북 지역의 핵심 공업 및 소비 도시 역할을 수행하면서 주변 인구를 흡수하고 섬유산업 등 경공업 중심지가 되어 대구가 소비의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 여기 더해 이전부터 있던 우시장 덕에 육고기 문화가 꽃을 피운다. “장날이면 하루 400여 두로 연간 거래 두수는 3~4만 두로 추산, 거래액이 20억 원이나 되는 국내 최대의 牛우시장”(1969년 11월 8일 자 <매일경제>)이란 기사처럼 한때 대구는 전국 소의 23%가 거래되는 시장이었다. 산업화를 겪으며 대구로 몰려든 젊은 공단 근로자들에게 단백질은 필수품이었다. 돈 있는 사람은 정육을, 가난하고 젊은 노동자들은 내장을 소비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에 관한 몇 가지 오해 (0) | 2025.07.18 |
---|---|
붉은 국물의 본향 (0) | 2025.07.18 |
대구가 힙합 탄생 50주년을 기념하는 방식 (1) | 2025.07.09 |
정온과 합리의 도시 (1) | 2025.07.09 |
서화 그리고 수묵 추상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