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힙합 (2)
한국의 흑인음악을 살피고 기록해온 힙합 저널리스트 김봉현이 대구로 향했습니다. 레코드와 음악 감상 문화가 일찍이 무르익은 도시 대구에서 그는 누굴 만나 무엇을 보고 들었을까요. 김봉현이 목격한 음악 도시 대구의 르포르타주를 두 편의 연재로 전합니다.
수식어는 ‘올해에도’, ‘올해는 더’대구힙합페스티벌
“우리는 로컬에서 역사를 쌓아가려고 해요. 앞으로도요.” 작년 말 대구힙합페스티벌 여승현 대표를 만났을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 앞으로도 대구에서 이것저것을 시도하겠다는 약속이었다. 그리고 올해 그는 그 약속을 벌써 지켰다. 2023년에도 대구에서는 대구힙합페스티벌이 열렸다. 여느 때처럼 양일간 2만 명이 넘는 관객이 찾았다. 매년 1,000명 정도 오는 외국인 관객도 올해는 2,000명이나 방문했다. 게다가 올해 역시 멜론 티켓 전체에서 한동안 판매율 1등을 차지했다. 2023 대구힙합페스티벌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올해에도’, 그리고 ‘올해는 더’.
2023 대구힙합페스티벌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올해에도', 그리고 '올해는 더'.
올해도 대구힙합페스티벌을 향한 래퍼들의 애정은 이어졌다. 레디는 페스티벌의 오랜 역사에 존경을 표했고, 팔로알토는 올해로 10년째 출석 중이라며 자신을 소개했다. 블라세는 처음 랩을 시작할 때부터 서고 싶은 무대였다고 했고, 로꼬는 올해 대구힙합페스티벌이 제작한 힙합 탄생 50주년 기념 티셔츠를 입고 무대에 올랐다. 래퍼들뿐 아니라 관객의 애정도 변함없었다. 작년에 이영지의 무대와 릴러말즈의 무대에 각각 올랐던 두 관객은 올해도 페스티벌을 찾았다. 그리고 작년처럼 이영지와 릴러말즈의 무대에 또 한번 올라 아티스트와 함께 공연(?)했다. 약속한 적은 없지만, 올해도 변함없이 모였다. 래퍼도, 관객도, 주최 측도 모두 행복해지는 순간이었다. 대구힙합페스티벌에서는 이런 광경이 펼쳐진다.
한국에서 힙합 탄생 50주년을 기념하는 법, 대구힙합페스티벌
올해 대구힙합페스티벌에서 내세운 슬로건은 (놀랍게도) ‘힙합 탄생 50주년’이었다. 힙합은 올해로 탄생 50주년을 맞이했다. 미국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한 움직임이 작년부터 시작됐다. 올해 그래미어워드에서는 아예 힙합 탄생 50주년 특집 무대를 편성하기도 했다. 그리고 한국에서 대구힙합페스티벌이 기념 티셔츠까지 제작하며 힙합의 쉰 살을 축하하고 나선 것이다. 여승현 대표는 이렇게 말한다. “저희가 한국의 힙합 페스티벌 중 가장 오래됐잖아요. 그래서 어떤 의무감 같은 게 있었어요. 힙합이 탄생한 지 올해가 50주년이라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티셔츠도 만들었죠. 처음에는 아티스트와 스탭에게 선물하기 위한 목적이었는데, 사람들의 요구가 많아져서 판매까지 시작했어요. 힙합 탄생 50주년을 페스티벌의 타이틀로 걸었다는 사실 자체가 의미 있다고 생각해요.”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온과 합리의 도시 (0) | 2025.07.09 |
---|---|
서화 그리고 수묵 추상 (0) | 2025.07.09 |
도시 대구의 기억법 (1) | 2025.06.27 |
레코드와 우리는 (2) | 2025.06.27 |
대구 누들 로드 (1)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