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 아키텍처 (4)

건축가이자 건축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는 저술가인 황두진 소장이 대구의 노란 도시 철도에 몸을 싣고 네 편의 글을 전합니다. 지형적 유산과 이름의 연원, 근대건축, 오늘의 모습을 만들어낸 시스템까지 정온하고도 합리적인 이 도시를 두루 돌아볼 요량입니다.

 

 

뉴욕은 마천루의 도시일까 도시에 관한 오해들

존재하는 사물 치고 오해와 편견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없다. 이는 역으로 그만큼 관심을 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마천루 하면 뉴욕이 떠오르지만,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 순위 5위까지는 전부 중동, 그리고 서울을 포함한 아시아 도시에 있다. 파리는 아름다운 도시로 알려져 있지만 낙서와 오물 냄새, 소매치기 등으로 수많은 방문객을 실망시킨다. 한국인이 모두 태권도를 잘 하는 것은 아니며, 이탈리아 사람이 모두 오페라 가수인 것도 아니다. 대구 역시 마찬가지다. 몇 가지 오해가 우리로 하여금 이 도시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게 한다. 동시에 왜 이런 오해가 생겼을까 궁금하게 만들기도 한다.

 

오히려 건물과 건물 사이로
산이 아닌 하늘이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큰 언덕'이 아니라 '너른 촌락'이 대구의 공간적 정체성에 가깝다.

 

 

큰 언덕? 너른 촌락? 대구의 연원

대표적 오해로는 대구가 언덕의 도시라는 것이다. 이 오해는 대구의 한자인 ‘大邱’의 연유를 정확히 이해해야 풀린다. 원래 대구의 옛 이름은 삼국시대까지 ‘달구벌達句伐’이었다. 여기서 한자는 뜻과 무관하고 그냥 음을 표기한 것이다. ‘너른 촌락’ 정도의 의미였다고 한다. 이후 신라 경덕왕 때 중국식 제도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한반도의 많은 지명이 오늘날처럼 두 음절의 한자가 되었고, 달구벌은 ‘대구大丘’로 불리기 시작했다. 이 역시 한자로 음을 표기하는, 이른바 음차를 한 결과인데 여기에 ‘언덕 구’ 자가 들어간 것이 이후 두고두고 오해를 낳았다.

 

조선 시대 영‧정조 연간에 ‘丘’ 대신에 현재와 같은 ‘邱’를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이미 오해는 시작된 뒤였다. ‘너른 촌락’이 엉뚱하게 ‘큰 언덕’이 된 것이다. 한국인만 오해하는 것이 아니다. 주한 외국인이 종종 한국 지명을 영어로 바꿔 부르곤 하는데, 천안天安은 ‘Heavenly Comfort’, 부산釜山은 ‘Cauldron Mountain’, 그리고 대구는 ‘Big Hill’이다. 그런데 막상 대구를 가 보면 이런 개념이 그리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청라 언덕과 같은 언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언덕이 다른 도시에 비해 특별한 존재감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건물과 건물 사이로 산이 아닌 하늘이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즉 ‘큰 언덕’이 아니라 ‘너른 촌락’이 대구의 공간적 정체성에 가깝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장 굽는 고을  (0) 2025.07.18
붉은 국물의 본향  (0) 2025.07.18
대구가 힙합 탄생 50주년을 기념하는 방식  (1) 2025.07.09
정온과 합리의 도시  (1) 2025.07.09
서화 그리고 수묵 추상  (0) 2025.07.09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