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ga City
모든 지역이 지방소멸, 인구감소를 우려하는 시대에도 문화적으로 부상하는 도시들이 있다. 제주, 강릉, 경주, 전주 등 비수도권 도시들은 독보적인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방식을 찾고 있다. 반드시 관광도시만 부상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도권 인구 1위 도시’ 청주는 ‘소리 없이 강한 도시’의 대표적 사례다. 화려한 관광도시와 달리 미디어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않지만, 청주의 로컬 경제와 도시 재생 현장을 둘러보면 ‘조용한 부상’이라는 표현이 가장 적절하다.
청주의 부상은 개별 도시의 성장을 넘어 광역 경제권의 맥락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청주는 ‘大대전’이라 불리는 새로운 메가시티권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청주-세종-공주-대전으로 이어지는 대전광역권이 하나의 생활권으로 작동하며 한국 제2의 메가시티를 형성하는 가운데, 청주는 독자적 정체성과 경제적 활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청주의 성공 요인은 한마디로 정체성의 성공적 진화에 있다. 도청소재지, 교육도시, 전통문화도시라는 역사적 기반에서 출발한 청주는 다양한 문화적 실험을 통해 현대문화도시, 골목도시, 일상도시, 디저트도시로 자연스럽게 변모했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변화가 과거와의 단절이 아닌, 전통적 정체성의 현대적 재해석과 확장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렇게 구축된 강한 로컬 정체성을 바탕으로, 청주는’大대전’ 메가시티 내에서 독자적인 문화경제 축을 담당하는 로컬 크리에이터 타운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주는 '大대전' 메가시티 내에서 독자적인 문화경제 축을 담당하는
로컬 크리에이터 타운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주의 전통적 정체성
청주는 오랫동안 교육도시로 인식되어 왔다. 더불어 주목할 점은 춘천과 함께 도청사와 시청이 원도심에 남아 있는 유일한 도청소재지라는 독특한 특성이다. 이러한 교육과 행정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이 청주 원도심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핵심 요인이 되고 있다.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창과학산업단지 등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에도 불구하고 원도심이 쇠퇴하지 않은 것은 이러한 교육·행정 기능의 존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청주의 문화적 정체성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기록문화의 전통은 오늘날 청주의 도시 브랜딩의 근간이 되고 있다. 영운동의 복합 문화 공간 ‘터무니’가 동네 기록관으로 선정된 사례처럼, 청주는 기록 문화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성공적인 도시 브랜딩을 실현하고 있다. 이런 문화적 토대 위에서 청주의 골목 상권은 ‘조용하고 단아하게’ 성장하는 독특한 발전 방식을 보여준다. 과시적이거나 화려하지 않지만, 단단한 기반을 갖춘 성장이 청주 로컬 경제의 특징이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쳐 지나가기에는 아까운 도시 - 윤광준 작가가 찾은 청주 (4) | 2025.07.30 |
---|---|
불멸의 공예가 피어나는 청주 (0) | 2025.07.24 |
순하고 깊다, 청주의 음식 (0) | 2025.07.24 |
내장 굽는 고을 (0) | 2025.07.18 |
대구에 관한 몇 가지 오해 (0)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