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빵 요정의 여행

 

 

이른 아침 집을 나서는 당일치기 지방 여행의 묘미는 단연 ‘먹거리’가 아닐까. 특산물로 정갈하게 차린 백반 한상이나 보글보글 끓어오르는 감칠맛 가득한 전골도 좋다. 바닷가가 아니더라도 내륙에서 만나는 산채나 뚝배기 한 그릇에 담긴 고기국밥은 그야말로 도심을 벗어난 탈출의 기념작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청주로 향하는 나의 머릿속은 온통 달콤하고 포근한 청주의 디저트로 채워졌다. 대전이 전국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빵의 도시라면, 차분한 교육의 도시 청주는 그야말로 초콜릿과 병과, 스트리트 디저트가 사이좋게 어우러진 매력 넘치는 디저트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그리 먼 거리가 아니라면 기차보다 고속버스를 선호하는 나는 버스 안에서 틈틈이 지도 앱에 저장해둔 디저트, 빵집들을 찾아 휴무일과 동선을 고려해 루트를 완성한다. 플랜B는 필수로 준비해두는 슈퍼 J이지만, 여행에서 발생하는 변수에 크게 스트레스 받지 않으려 노력한다.

 

 

첫 번째 목적지는 용암동 농협물류센터 내 하나로마트 푸드코트에 위치한 미미호떡이다. 호떡 하나 먹으려고 생각보다 먼 길을 나선 우리는 역시나 먹는 일에 진심인 고귀한 영혼이다. 과연 이 길로 가는 것이 맞을까 싶은 낯선 길을, 지도 앱이 알려주는 대로 지름길을 따라 걸었다. 마트 안으로 들어가 푸드코트 키오스크를 찾았다. 10개 정도 넉넉히 사서 몇 번이고 에어프라이어에 돌려 먹고 싶은 마음을 누르고, 갓 튀겨낸 호떡 하나를 손에 쥐었다. 뭐든 눌러 구워내는 크로플 열풍의 영향인지 바삭하게 눌러 튀긴 미미호떡은 고소하고 바삭한, 상상한 맛의 기대감을 충분히 만족시켜주었다. 뒤돌아서 하나 더 사야 하나 고민할 정도로 매력적인 미미호떡, 합격!

 

 

방향을 틀어 한국 전통 병과점을 찾았다. 이름하여 1913 청주부엌. 반가 음식과 전래 음식으로 한국의 맛을 전해온 강인희 선생을 계승한 한국전래음식연구회의 이말순 선생에게서 요리를 배운 강신혜 대표가 이끌고 있다. 이곳은 그가 직접 만든 떡과 한과를 차와 함께 즐길 수 있는 단아한 공간이다.

 

 

특히 충청북도 최초의 한글 조리서인 유형문화재 ‘반찬등속’을 통해 1910년대 한과를 재현하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오픈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청주를 방문하면 꼭 찾고 싶은 곳이었다. 올해 단오는 5월 31일이었는데, 운 좋게도 단오를 위해 만든 메뉴인 오미자하귤 화채와 전통 궁중떡인 두텁떡을 맛볼 수 있었다. 만듦새부터 공간이 주는 우아한 멋이 깃든 맛이 연신 감탄사를 내뱉을 수밖에 없는 감동을 안겼다. 앞으로 내게 청주의 꽃말은 1913 청주부엌이 되지 않을까 싶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