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가 간직한 예술의 시간
도시의 기억은 꼭 돌로 만든 기념비에만 새겨지지 않는다. 물길을 따라 흐르고, 오래된 공장의 벽돌 틈새에 스며들며, 사람의 손으로 정성껏 빚은 공예품 위에 얹히고, 종이 위에 찍힌 오래된 활자 자국에도 남는다. 청주는 이런 다양한 기억의 결을 동시에 보여주는 드문 도시다. 도심을 유유히 흐르는 무심천의 잔잔한 물결, 한국전쟁의 아픔을 안고 형성된 수암골 마을의 벽화들, 산업의 흥망성쇠를 겪어낸 연초제조창과 그곳에서 문화적 생명력을 얻어 새롭게 피어난 문화제조창, 그리고 세계 기록 문화의 출발점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하 직지)까지. 이 모든 기억이 서로를 연결하며 “기억이 장소를 만들고, 그 장소가 다시 사람을 부른다”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도시의 기억은 물길을 따라 흐르고,
오래된 공장의 벽돌 틈새에 스며들며,
사람의 손으로 정성껏 빚은 공예품 위에 얹히고,
종이 위에 찍힌 오래된 활자 자국에도 남는다.
직지, 기록 너머의 철학
〈직지〉는 단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이라는 역사적 타이틀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그것은 지식과 사유가 기록과 보존을 통해 어떻게 세대를 초월해 전달될 수 있는지를 인류 최초로 증명한 기록물이다. 활자의 탄생은 단순히 기술의 진보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오히려 인간의 지적 교류를 시간과 공간을 넘어 확장한 철학적 사건이었다. 〈직지〉를 인쇄한 청주 흥덕사는 오늘날 비록 빈터로 남아 있지만, 우리는 오히려 그 빈 공간에서 기억의 진정한 본질과 가치를 다시금 묻게 된다. 때로는 사라진 흔적들이 가장 풍성한 이야기와 사유를 품고 있듯, 청주에서 〈직지〉는 단지 책 한 권을 넘어 도시 전체가 살아온 정신적 원형과 가치를 상징하는 존재다.
때로는 사라진 흔적들이 가장 풍성한 이야기와 사유를 품고 있듯,
청주에서 <직지>는 단지 책 한 권을 넘어
도시 전체가 살아온 정신적 원령과 가치를 상징하는 존재다.
산업의 기억에서 문화적 재생으로
1946년에 들어선 청주 연초제조창은 수천 명의 노동자가 땀 흘리던 중부권 최대 규모의 산업 시설이었다. 전성기에는 수십억 개비의 담배를 생산하던 곳으로, 월급날이면 남문로 시장에 활기가 넘쳤다. 그 시절 기억은 아직도 청주의 골목길과 사람들 사이에 남아 있다. 그러나 산업화의 물결과 시대 변화 속에서 이곳은 점차 가동을 멈추었고, 도시 한가운데 거대한 빈 골격으로 남았다. 청주는 이 빈터를 없애는 대신 기억의 지속성을 선택했다. 옛 공장 건물을 문화적 재생 공간으로 삼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한 것이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유에서 교감하는 집으로 (1) | 2025.08.12 |
---|---|
초콜릿과 병과, 스트리트 디저트 (1) | 2025.08.12 |
잘 볶은 커피, 오래된 식당, 가마솥 (4) | 2025.07.30 |
기억의 습작 - 장우철 작가가 찾은 청주의 분식집 (4) | 2025.07.30 |
스쳐 지나가기에는 아까운 도시 - 윤광준 작가가 찾은 청주 (4)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