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여행과 물건
오송역 5번 출구. 길게 줄 서 있는 택시 중 하나를 타고 청주 시내로 향한다. 기사님은 점잖고, 말수가 별로 없다. 내가 말을 걸자 대답도 업무의 일부라는 듯 이야기를 시작한다. 나는 이런 기사님들을 좋아한다. 기사님 말씀에 따르면 오송, 청주, 세종이 삼각형을 이룬다. 세 지역 사람들이 서로 오가고, 청주에는 학교와 일거리가 많아 활기가 있다고. 그 말을 증명하듯 차창 밖으로 건설용 고층 크레인이 보인다. 오송역과 청주 시내는 택시로 20분 정도. 그 사이 훌륭한 지역 브리핑이 끝나고, 나는 목적지에 도착한다.
레이어커피. 동부창고 근처, 국립현대미술관 뒤쪽에 위치한다. 청주에 인구 대비 카페가 많다는 이야기를 듣고 카페 몇 곳을 추천받았다. 레이어커피는 그중 가장 이른 시간인 오후 6시에 문을 닫아 제일 먼저 찾았다. 레이어커피의 강성식 대표는 마침 내 책을 전부 읽어서 보자마자 나를 알아보았다. 내 부모도 다 읽지 않은 책을 봤다니, 그의 성격도 남다른 것 듯하다. 레이어커피에도 그만의 면모가 있다.
혼돈된 듯 정리된 정도, 피겨와 동양화와 디자인 가구와 서예 작품이 함께 걸린 중첩, 혼돈된 고객에게 친절하고 커피에 엄격한 태도. 그 모든 걸 기억하고 싶어 레이어커피드립 백을 샀다. 청주에서 산 첫 번째 물건이다.
레이어커피를 나와 두 번째 카페로 향한다. 일면식. 내가 느끼는 한국 감성 카페 유형에 속하는 곳이다. 감상적인 어감의 한자어 상호. 입구의 턴테이블, 그러나 음악은 블루투스로 튼다. 강성식 대표는 청주 카페의 특징으로 “은근히 유행이 빠르다”고 했는데, 그게 무슨 말인지 알 것 같다. 다만 일면식은 외피가 어떨지 몰라도 이곳을 이루는 정서는 다정하고 느긋하다. 좌석 간 간격은 넓다. 사람들은 띄엄띄엄 앉아 각자의 일을 한다. 공부, 수다, 독서. 충청의 넉넉함이 이런 건가 싶다. 책장에는 방문객의 방명록 공책이 40cm쯤 되는 높이로 쌓여 있다.
다음 카페는 청주여고 앞 먼치바이트. 역시 기분 좋은 동네 카페다. 학교 앞 카페라 토요일에는 사람이 없다. 인적이 드물어 조용한 학교 앞 거리에서 5:5 가르마에 체크 셔츠를 입은 사장님이 월요일에 판매할 구움과자를 굽고 있다. 스모어 쿠키 앞에는 “**쌤이 기증한 마시멜로로 만든 쿠키”라는 설명이 쓰여 있다. **쌤이 누구냐 여쭈니 청주여고 선생님이라고 한다. 이곳을 중심으로 청주여고 학생들의 추억이 구워질 것 같다.
연달아 커피를 세 잔 마셔서인지 커피의 요정들이 뱃속에서 수세미질을 하는 것 같다. 밥을 먹어야 한다. 찾아둔 곳이 있다. 삼미식당. 소상공인진흥공단이 선정하는, 업력 30년 이상의 소상공인인 ‘백년가게’ 업소다. 찾아보니 메뉴가 둘뿐이다. 족발과 수제비. 마음에 든다. 맛은 더 대단하다. 소박한 재료를 엄격히 다듬어 간결하게 익힌 요리다. 신선한 돼지 족을 간장종물에 마늘과 생강만 넣어 삶아 식힌다. 시류에 영합하거나 잔재주를 부리지 않은 족발의 이데아 같은 맛이 난다.
탄수화물을 더하기 위해 설계했을 수제비마저 훌륭하다. 간판에는 ‘충청북도 대물림 계승업소’와 ‘청주시 향토음식 지정업소’ 인증도 받았다고 적혀 있다. 진흥공단-충북도-청주시의 인증 트리플 크라운을 받은 셈이다. 맛은 미쉐린 가이드의 표현을 빌린다. 이 족발을 위한 여행을 떠날 가치가 있는 맛.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클릭하기 ▼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의 습작 - 장우철 작가가 찾은 청주의 분식집 (2) | 2025.07.30 |
---|---|
스쳐 지나가기에는 아까운 도시 - 윤광준 작가가 찾은 청주 (1) | 2025.07.30 |
불멸의 공예가 피어나는 청주 (0) | 2025.07.24 |
청주의 조용한 부상 (0) | 2025.07.24 |
순하고 깊다, 청주의 음식 (0)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