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넥트현대 B1 로컬브랜드 숍 '끄티 현대'에 담긴

도시의 미래와 비전

 

 

 

알티비피얼라이언스 김철우 대표는 20대에 서울에서 활동하다 부산으로 돌아와 20년째 부산을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오고 있다. 누군가는 그의 활동을 ‘도시 재생’이라 이름 붙이지만, 김철우 대표는 자신의 활동을 ‘도시의 미래와 비전을 만들어가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그는 도시의 미래와 비전을 만들어가기 위해 과거를 더듬고 아카이빙하며 미래를 그릴 단서를 찾는다.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가 다시 부산에 돌아와 아예 다른 일을 하게 되었다고 들었어요.

영화학을 전공하며 7년 정도 영화 현장에서 일했어요. 학창 시절부터 사회나 자연 현상에 관심이 많은 데다 저만의 가설을 세운 다음 다시 그걸 확인하는 과정을 좋아했거든요. 이런 특성이 영화와 잘 맞는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영화를 통해 제가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이 생각만큼 쉽지 않더라고요. 해소되지 않는 갈증을 안고 2003년쯤에 부산으로 돌아왔어요.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술을 배워야겠다고 생각했죠. 조선소에서 운영하는 훈련기관에서 기술을 배웠어요.

 

 

문화나 예술 쪽 일을 바로 시작할 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요.

현실적 여건이 따라주지 않았던 거죠. 선박과 관련된 장비를 개발하고 제작하는 일을 하면서 밤이든 주말이든 공연이나 전시를 보러 가거나, 업계 종사자들을 만나러 다녔어요. 10년 정도 돈을 모으며 문화에 관련된 공간에 가서 사람들과 교류하다 보면 자본과 네트워크를 충분히 쌓을 수 있겠다는 생각도 있었고요. 그러다 2010년 전후로 국제적인 경제 위기가 찾아왔어요. 해운항만업은 국제 상황에 바로 영향을 받는 업종이라 크게 직격탄을 맞았죠. 중소형 규모의 조선소가 여럿 파산했고, 일하는 사람으로 가득하던 조선소 분위기가 한순간에 바뀌었어요. 영도 부둣가에 커다란 구조물만 남아 있는 모습을 보며 여러 감정이 들었죠. 제 사업을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던 시기라 당시 상황에 큰 영향을 받았어요. 문화와 콘텐츠를 만드는 일에 그치기보다는, 지금 현재 내가 살고 있는 도시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조를 가진 콘텐츠를 만들자고 생각했죠.

 

 

 

그렇게 시작한 게 2014년에 문을 연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인가요?

맞아요. ‘플랫폼135’라고도 불렀어요. 우리 주변에 생긴 문제들을 모티베이션 삼아 그걸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공간이라는 콘텐츠로 제작했죠. 예를 들면, 조선소가 문을 닫으며 버려진 폐자재를 소재로 아티스트, 기술자가 모여 오브제를 만들었어요. 또, 조선소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떠나면서 생긴 동네의 빈집을 하나의 작은 영화관으로 만들어 영화를 상영하기도 했어요. 함께 할 사람들을 모으는 걸 넘어 일자리를 잃고 업의 방향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먼저 일을 제안하기도 했는데, 이런 방식의 팀플레이를 계속 이어나가다 보니 일종의 코워킹 스페이스 역할을 하는 공간이 됐죠. 제 입장에서는 저희가 추구하는 활동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을지 확인하는 기간이기도 했어요. 지자체나 기관에서 근무하는 분들을 포함해 저희의 움직임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꽤 있더라고요. 가능성이 보여 더 발전시켜보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다음 이어진 프로젝트가 바로 ‘끄티 청학’이죠.

조선소 공장을 미디어와 설치 예술을 위한 공간으로 개조한 문화 시설이에요. 문화적·예술적 기획과 기술자들이 설비를 다루는 능력이 더해져 콘텐츠로 잘 융합될 수 있을지를 지켜보는 과정이었어요. 그후에 세운 공간이 ‘끄티 봉산’이고요. 조선소 한진중공업 맞은편에 위치한 산복도로 마을에 세운 복합 문화 공간인데, 빈집이 많음에도 재개발이 무산돼 슬럼화된 곳이었죠. 디렉터를 맡아 ‘마을의 빈집’이라는 이슈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고자 노력했고, 저희가 선발대처럼 여러 문화 프로젝트를 진행한 뒤 마을과 영도구청이 도시 재생 사업을 운영하는 식으로 진행됐어요. 플랫폼 135, 끄티 청학, 끄티 봉산을 저희 내부에서는 ‘프로젝트 1탄, 돌아와요 부산항에’라고 불러요. 조선업의 부진으로 침체된 부산항이 아닌, 건강하고 밝은 부산의 모습을 다시 찾았으면 하는 마음도 함축적으로 담겨 있죠. 그다음으로 진행한 게 ‘프로젝트 2탄, 영도 물산장려운동’이에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배너  클릭하기▼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