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딸 사이에
정원에서 줄기가 울창한 식물이 자라나고, 눈길이 닿는 선반 곳곳에 화병이 가득하다. 대구 북성로에 안온하게 자리한 ‘사이에 포터리’ 공방이다. 꽃과 나무를 곁에 둔 채 엄마는 옻나무 수액을 도자에 바르고, 딸은 공원의 풀을 도자에 그린다. 자연을 빚어내며 매일매일 성실히 보내는 이들. 도예를 공부한 엄마와 딸이 만나 스튜디오를 꾸린 지 어언 8년째다. 일과 일상이 연결된 공방에서 이들은 도자를 만들고 음식을 차려 먹으며 계절을 지낸다. 그 사이, 엄마 이미옥과 딸 김민지 사이에 도자가 피어난다.
공방이 널찍하고 아늑해요. 무질서 속 질서랄까. 도자들도 저마다 있어야 할 곳에 자연스레 배치된 것 같고요.
김민지 그런가요?(웃음) 사실 처음 스튜디오를 꾸릴 때는 지금보다 훨씬 작은 공간이었어요. 도자를 배우고 싶어 하는 수강생이 늘어나면서 저희가 도자를 만들 작업 공간이 부족하더라고요. 엄마와 제가 함께 일한 지 2년쯤 지났을 때 다양한 도자를 만들며 실험을 하고 싶다고 생각했죠. 그래서 공방 규모를 좀 더 키워 이곳으로 왔어요. 처음에는 아무것도 없는 빈 건물이었는데, 공터에 나무를 심고 연못을 만들면서 작은 정원도 꾸렸어요. 물레도 두고, 도자를 굽는 가마도 설치했고요.
어머니이자 큰 선생님인 이미옥 작가님과 세라믹 스튜디오를 운영하죠. 식기 위주로 구성된 제품 사이에 포터리를 주요 브랜드로 두고, 서브 브랜드을 세 라인으로 나눴다고 들었어요. 세 라인에서는 각각 어떤 제품을 만드나요?
이미옥 먼저 ‘사이에 크래프츠Saie Crafts’는 제가 운영하는 라인인데요, 도자 표면에 유약을 대신해 전통 옻칠을 하는 도태칠기 기법을 사용하거나 장작가마로 도자를 굽는 등 클래식한 방식으로 진행해요. 특히 도태칠기 작업으로 옻칠과 도자기가 부드럽게 조화를 이루면서,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하죠. 라 엔살라다La Ensalada’는 색이 다른 흙을 결합해 패턴을 만드는 연리문 작업으로 완성해요. 흙에 안료를 섞어 색소지를 만들고, 서로 다른 색소지를 이어서 패턴을 만들죠. 작업 과정이 만만치 않아요. 언젠가 겨울에 연리문 작업을 했다가 도자의 3분의 1 정도만 온전히 나온 기억도 있죠. 하지만 늘 새로운 패턴이 생겨나고, 색감의 조화가 의외롭게 다가올 때의 낯섦이 좋아요.
김민지 ‘로지 그로브Rosie Grove’는 주로 손으로 흙을 성형해서 만드는 핸드빌딩 기법을 사용하는데요, 때로는 물레를 이용해 일일이 빚기도 하죠.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색과 형태를 도자에 녹이고자 해요. 세 라인의 작품은 대부분 하나씩 만드는데, 가끔 작품을 완성하고 나면 밖으로 내보내기 아까울 때가 있어요. 각각 사진을 찍고 설명을 달고 홈페이지나 SNS에 업로드하는 데 품도 꽤 들고요. 사실 도자를 만들 때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을 하는 게 경제적으로 이득이라는 걸 머리로는 알지만, 저희 마음이 닿는 것은 언제나 늘 다른 방향으로 튀는 여지가 있는 작품이에요. 매번 다양하게 시도하면서 독특한 형태를 탐구하는 것도 좋고요. 틀에 갇히는 상황이 오면 답답하더라고요. 앞으로도 계속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내고 싶어요. 의도치 않은 발견을 하고 예상치 못한 결과물을 기다리면서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배너 클릭하기▼
'L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의 멋진 F&B는 모두 이곳에서, 피키차일드 성주현 (1) | 2025.02.17 |
---|---|
대구 대표 스트리트 패션 편집숍, 이플릭 윤동원 (0) | 2025.02.17 |
명란의 역사와 맛을 만들어 가다, 덕화푸드 장종수 대표 (0) | 2025.02.12 |
커피의 가치를 전하다, 모모스커피 전주연 대표 (0) | 2025.02.12 |
어묵의 본질과 가치, 삼진어묵 박용준 대표 (0) | 2025.02.12 |